□ 핵심품목 진단
ㅇ「소재·부품·장비 경쟁력 강화 대책」(8.5)을 통해 핵심품목으로 100+α 개를 선정
ㅇ 상기 100+α 에 대해 관계부처 합동으로 제품·원료의 대외의존도와 현장전문가 의견수렴을 토대로 정밀 진단 실시
- 향후 전체 관리대상 품목에 대해 추가 진단 실시 예정(~’19.12, 「소재·부품·장비 경쟁력 위원회」와 협조)
□ 핵심품목 관리
ㅇ 과학기술자문회의 내에 산학연 전문가로 구성되는 ‘소재·부품·장비 기술특별위원회*’를 운영하여 핵심품목을 체계적으로 관리(’19.12)
* 위원장(과학기술혁신본부장), 위원(산학연 전문가, 관계부처 1급)
- 글로벌 가치사슬, 기술수준 및 경쟁력, 국내외 특허분석 등을 통해 R&D 측면에서 관리가 필요한 핵심품목을 목록화
※ 특별위원회는 ‘소재·부품·장비 경쟁력 위원회’에서 결정된 품목별 대책 중 R&D투자, 프로세스 혁신 등을 제도적으로 뒷받침하고, 동 안건의 추진실적을 총괄 점검
□ 소재・부품・장비 R&D ’22년까지 5조원 이상 투자*
* (’19, 추경포함) 1조원 → (’20~‘22) 5조원 이상
ㅇ 반도체·디스플레이 등 핵심품목에 따른 5대 분야를 중심으로 소재·부품·장비 R&D 예산을 ’22년까지 향후 3년간 5조원 이상 집중 투자
- 핵심품목 관련 예산은 지출 구조조정 제외 및 일몰관리 면제
핵심품목 중심 맞춤형 투자
□ 신속 자립형 개발・실증 착수
ㅇ (핵심품목 개발*) 단기 성과창출이 필수적인 핵심품목에 대해 수요-공급기업 협력형 R&D 착수
*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 소재부품산업기술개발기반구축사업 등
ㅇ (성능평가 및 실증지원*) 제품 조기 상용화를 위한 성능평가 지원 및 실증지원을 위한 공용 반도체 테스트베드의 성능개량 착수
* 반도체·디스플레이 성능평가 지원사업, 팹시설 고도화 등
ㅇ (단기 상용화*) 무역의존도가 높은 소재·부품·장비 품목 중 중소기업의 단기 상용화 효과가 높은 과제에 대한 R&D집중 지원
*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 사업에 품목지정 트랙을 별도 신설
□ 핵심 타깃형 기술개발 조기 추진
ㅇ (핵심소재・부품 개발*) 핵심품목 위주의 소재・부품 해외 의존도 해소 및 기술 확보를 위한 핵심소재・부품 R&D 착수
* 전략핵심소재 자립화기술개발사업, 5G기반 장비단말부품 및 디바이스 기술개발사업 등
ㅇ (핵심장비 개발*) 제조장비 스마트 제어기(CNC) 등 기계・제조, 반도체 등의 핵심장비 조기 개발・구축을 위한 신규 지원
* 제조장비시스템 스마트제어기 기술개발사업, 반도체 EUV광원 및 장비기술개발사업 등
ㅇ (전문기업 기술혁신*) 중소기업의 소재・부품 기술혁신, 상용화 기술개발을 통해 각 단계별 100개 전문기업 육성
* ’스타트업→강소기업→글로벌 전문기업‘ 성장 지원(기존 창업성장기술개발,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 및 상용화기술개발에 소재・부품 전용으로 ’20년 추가 반영)
□ 핵심기술 선점형 프로젝트 추진
ㅇ (첨단소재) 원천연구 필요성이 높은 미래소재* 기술개발 및 IoT, 5G 등 4차 산업혁명을 이끄는 첨단 분야 소재·부품 개발
* 나노‧미래소재 원천기술개발에서 미래소재기술 30개 내외 발굴(’19.7)
ㅇ (혁신도전) 핵심소재・부품 분야를 포함, 사회・경제적 파급력이 큰 영역에서 혁신적 연구테마 중심의 ‘혁신도전 프로젝트*’ 추진
* 전담PM 제도, 컨설팅평가, 경쟁형 R&D, 중복허용 등 혁신방식을 적용한 한국형 DARPA 시범사업 및 G-First(과기정통,산업), 알키미스트(산업), 미래도전기술개발(방사청) 추진 등
국가 연구인프라 결집 : 3N(N-LAB, N-Facility, N-TEAM) + REGION
□ [N-LAB] 핵심 소재·부품·장비 분야별 국가 연구실 지정·운영
ㅇ (지정) 수요기반 소재·부품·장비 핵심기술에 대한 중점 연구·지원을 위해 분야별 국가 연구실(N-LAB) 지정(’19.12)
- 관련 출연연·대학을 대상*으로 지정하고, 추후 산업체로 단계적 확대
* 예시) 화학(화학연), 금속(재료연), 부품·장비(생기연, 기계연), ICT 디바이스(ETRI)
ㅇ (역할) 소재·부품·장비 기술자립을 위한 연구·정책지원 거점 기능과 함께 긴급상황 발생시 N-LAB 역량 및 자원을 총동원하여 신속 대응
□ [N-Facility] 소재·부품 테스트베드 국가 연구시설 지정·운영
ㅇ (지정) 핵심소재·부품의 상용화 개발을 위해 출연연·대학·테크노파크 등의 주요 테스트베드 연구시설을 N-Facility로 지정*(’19.10)
* 반도체·디스플레이분야 FAB 연구시설을 대상으로 우선 추진 후 타 분야로 확대(연구기관 인프라를 종합적으로 연계·관리하고 기업 인프라와의 협력체계 구축)
* 산업계 지원을 위한 다목적 방사광가속기 등 연구시설 추가 구축 검토
ㅇ (역할) 핵심소재·부품 실증·성능평가·표준화 등을 위한 테스트베드를 지원*하고, 긴급상황 발생시 관련 연구시설을 문제해결에 집중 투입
* 나노종합기술원의 웨이퍼 공정 시설 고도화(8인치 → 12인치) 예산 반영(‘19추경)
□ [N-TEAM] 주요 품목별 국가 연구협의체(N-TEAM) 지정·운영
ㅇ (지정) 산업체의 기술적 애로사항 해결을 위해 핵심품목을 중심으로 산학연을 연계하는 국가 연구협의체* 구성·운영(’19.12)
* 과학기술기본법 제33조(시행령 제49조)에 의한 과학기술진흥단체로 지정·지원 가능
ㅇ (역할) 전문가그룹*으로 구성된 서포터즈와 공급·수요기업 관계자를 연결하여 지속적 현장기술 지원 및 장기적 기술개발 방향 제시
* 서울대(6개 연구소, 320명), 4대 과기원(총 320여명) 등 대학 기술자문단, 출연연(10여개 기관, 특허 보유 500~1,000명, 기업공동연구센터 운영) 등
□ [REGION] 지자체 중심의 지역 혁신역량 결집
ㅇ (지역주도) 지역혁신의 중심축인 지자체(시・도)가 지역 내 3N 주체들과 협력하여 소재・부품·장비 분야 지역기업 우선 지원
- 「지역혁신체계 개편방안(’19.8, 균형위)」을 통해 구축하는 지자체 중심 혁신체계*를 활용하여 네트워크 구축 및 역량 강화
* 지자체 주도 「지역혁신성장계획」 → 지역R&D 및 지역혁신기관을 연계·역량집중
ㅇ (지역연계) 지역거점을 활용한 소재·부품·장비 상용화 지원 강화
- (R&D 특구) 연구개발특구 및 신규 지정(’19.8)된 강소특구*를 중심으로 기술사업화 집중 지원(R&BD사업 지원, 펀드 조성 등)
* 안산(ICT·융복합소재), 진주(항공우주 소재·부품), 포항(첨단신소재), 청주(ICT부품)
- (산업융합지구) 정부, 지자체, 산학연 기관이 공동으로 산업융합지구를 거점으로 하는 R&D사업을 기획하여 추진(역매칭 방식)
- (국가혁신클러스터) 14개 시도 국가혁신클러스터 별로 특성화*된 자원과 역량을 활용하여 R&D 및 사업화 지원
* 경남(항공 부품), 경북(전기차 부품), 충북(에너지 첨단부품), 충남(수소차 부품) 등
'지식 > 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올뉴 투산(tucsan) nx4 2020년형 4세대 가격 (0) | 2020.09.15 |
---|---|
기아 올뉴카니발 2020년형(4세대) 7인승 등 가격 (0) | 2020.09.13 |
삼성 갤럭시폴드 9월 정식출시 내구성 강화 및 설계 보강 (0) | 2019.07.25 |
취업 잘 되는 자격증 인기 자격증 TOP 20 (0) | 2019.07.11 |
산업부- 알키미스트 프로젝트 도전적 기술개발 과제 (0) | 2019.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