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혁신 선도 유망기업 41개사
녹색혁신으로 선정된 유망기업 41개사는 중기부,환경부의 지원으로 연구개발에서 기술사업화까지 전주기 성장지원을 받을 예정입니다. 해당기업의 기술은 향후 그린 뉴딜에 중요한 역할을 해줄 성장 기업으로서 꾸준한 성장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됩니다.
(그린벤처) 기술개발 12.5억원, 사업화자금 17.5억원 등 최대 30억원
(녹색혁신기업) 기술개발 7.5억원, 사업화자금 22.5억원 등 최대 30억원
구분 |
기업명 |
기업명 |
그린벤처 (20개사) |
대영채비 |
인투코어테크놀로지 |
서원테크 |
일신종합환경 |
|
솔라플렉스 |
자이언트케미칼 |
|
에스팩주식회사 |
캐스트맨 |
|
에이치투 |
티앤이코리아 |
|
에코프로 |
파이퀀트 |
|
에프엠에스코리아 |
필스톤 |
|
유버 |
한국워터테크놀로지 |
|
이에스티 |
한국축산데이터 |
|
인터텍 |
해줌 |
|
녹색혁신기업 (21개사) |
㈜나노 |
우민기술㈜ |
㈜대웅 |
㈜원텍글로비스 |
|
㈜리엔텍엔지니어링 |
㈜월드이노텍 |
|
㈜부강테크 |
인선모터스 주식회사 |
|
삼영플랜트㈜ |
주식회사 유솔 |
|
㈜세성 |
지엔원에너지㈜ |
|
㈜아모그린텍 |
㈜피앤아이휴먼코리아 |
|
㈜애니텍 |
필즈엔지니어링㈜ |
|
어썸레이 주식회사 |
한국에어로㈜ |
|
㈜엔바이온 |
효림산업㈜ |
|
㈜엔케이 |
- |
그린벤처 주요기업(중소벤처기업부 선정 기업)
솔라플렉스(태양전지 모듈/신재생에너지/태양광)
매출현황
(2017) 8.7억
(2018) 7.8억
(2019) 7.6억
태양전지 모듈제조 전문기업으로 특히, 태양전지 모듈의 핵심 부품인 기판을 전문으로 제조하는 중소기업
금번 신청한 과제는 3D 텍스쳐링 기판(소재)을 활용한 건식방식의 고효율 플렉시블 CIGS 태양전지 셀/모듈 제조 기술개발을 통해 유연성을 가진 곡면 기판을 개발해 태양전지 기판의 효율성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플렉시블 태양전지 셀 제조 기술을 바탕으로 지붕형, 건물외벽 시장에 적합한 제품군과 스마트 팜에 적용이 가능한 투과형 제품군, 군용 무전기 충전 모듈 및 아스팔트나, 콘크리트 블록에 플렉시블 CIGS 박막 태양전지를 적용한 도로 태양광 모듈 기술을 사업화 할 예정으로 향후 태양전지 시장에서 성장이 기대됨
㈜에코프로(촉매 제조/탄소저감/Non-CO2온실가스 처리)
매출현황
(2017) 406억
(2018) 830억
(2019) 933억
㈜에코프로는 코스닥시장 상장법인으로 케미컬필터, 대기방지 촉매, PFC저감설비를 주력제품으로 하는 중소기업으로, 삼성전자, 삼성엔지니어링에 케미컬필터, 온실가스 저감용 촉매등을 납품하는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음
금번 온실가스 아산화질소(N2O) 제거를 위한 De-N2O 촉매 개발 및 NH3-SCR과의 연계과제 수행을 통해 연소/소각, 화학공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저감에 기대효과가 클 것으로 판단되며, 기술력과 기존 거래선을 활용해 사업화 가능성이 매우 높을것으로 기대됨
㈜일신종합환경(폐수 및 대기질관리시스템/환경보호 및 보전/유해성 물질모니터링 및 환경 정화)
매출현황
(2017) 213억
(2018) 212억
(2019) 276억
일신종합환경은 대기질관리시스템 전문기업으로 HOC, 스크러버, EP을 전문적으로 제조하고 있음.
금번 과제는 친환경 환원제를 이용하여 선택적 촉매 환원법(Selective catalytic reduction-SCR)으로 질소산화물(NOx)을 제거하는 장치를 개발하여 핵심소재인 촉매부터 SCR 구조체를 자체 개발하고 친환경 환원제 분사장치와 연결하여 모듈화하여 기존 외산에 의존하던 핵심소재인 촉매와 전체 시스템을 국산화를 통해 대기질 관리시스템의 국산화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됨
또한, 기존 폐수시설에 사용되는 친환경 산화제 제조장치를 사업화하여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탈황폐수와 전자폐수 시장에 적극 대응할 수 있을것으로 기대됨
대영채비(주)(전기자동차충전기/그린차량 선박/친환경자동차)
매출현황
(2017) 111억
(2018) 234억
(2019) 253억
대영채비는 전기차 충전기 제조, 충전서비스 및 ESS, 수요반응사업 전문 업체로, 2016년 창사 이래 꾸준히 전기차 충전기 기술개발을 진행해 오고 있음
금번 사용후 배터리를 이용한 다세대 가구용 17.6kW급 모듈형 전기차 충전 인프라 개발을 통해 향후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폐 배터리를 활용하여 충전인프라를 확충하여, 사용 후 폐배터리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기존 충천시스템을 활용해 물류시스템용 스마트 무빙 충전시스템을 사업화를 통해 코로나19로 인해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전자상거래와 택배산업에서 활용되는 전기 화물차 충전시스템의 확산에 큰 기여와 함께 배기가스 저감을 통한 대기오염 저감 효과가 기대됨
녹색혁신기업 주요기업(환경부 선정)
㈜윈텍글로비스(활성탄 흡착,여과 장비/과열증기 이용 폐활성탄 고효율 재생장치/자원순환)
매출현황
(2019년) 4,150(백만원)
매년 활성탄 가격 급상승(15~20%)에 따른 수급불안 해소 및 중국, 일본 등 선진국 등이 활성탄을 전략제품으로 소재화하는 것에 적극 대응하여 활성탄 환경 시장 보호가 필요한 상황임
축적된 10년간의 과열증기 수질·대기용 활성탄 재생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과열증기를 이용하여 폐활성탄을 재활용하기 위해 높은 열용량과 엔탈피, 복합전열을 적용하여 가열시간 단축, 무산소 저온 열분해 재생하여 환경배출을 최소화하고 에너지 및 탄소 배출을 저감하는 친환경 기술임
이러한 핵심기술을 이용한 건조 감량 타분야의 응용 확대 진출하여 활성탄 재생분야 국내 1위를 달성할 계획임
어썸레이주식회사(스마트환기장치/광이온화 기반 미세먼지 및 세균/바이러스 저감 기술/청정대기)
매출현황(백만원)
(2019년) 20
(2020.8월) 105
건물 공조장치에 설치하여 미세먼지 및 세균/바이러스를 동시에 제거하는 스마트 환기장치로, 포스트 코로나시대에 웰니스 밸류애드와 그린리모델링의 핵심 설비에 해당
KOTRA 본사 및 여의도 대형 건물 등에 성공적으로 적용하여 법적기준보다 상향된 제시기준 통과하였고, 자체 생산 라인 확보로 본격적인 매출 상승을 기대하고 있음
핵심 소재(탄소나노튜브 섬유)와 부품(냉음극 광원)에 대한 원천 기술을 보유하고 있어, 클린룸, 선박과 같은 특수분야 및 일반 주택분야까지 빠르게 확장하여 “청정대기산업의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음
㈜엔케이(선박구성부 부품/대용량 단일 챔버 오존 발생기 국산화/스마트 물)
매출현황(백만원)
(2019년) 88,260
전량 해외(스위스, 독일 등)에 의존하고 있는 대용량 오존(O3) 발생기를 국산화하여 총유기탄소(TOC) 제어가 필요한 수처리 시스템 등에 적용할 예정임.
오존을 적용한 하폐수처리 기본 설계, TOC 처리를 위한 개발 장비의 Pilot 시험, TOC 처리를 위한 장비의 실증시험 및 인증을 통해 오존 수처리 설비의 모듈화 설계 및 생산기술을 확보해 대용량 오존 발생기를 수입 대체할 수 있는 국산화 생산 기술을 확보할 계획임.
이를 통해 해외 생산업체들의 과다한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하고 국내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할 것임
지엔원에너지(주)(신재생 에너지 설계시공사업/수열에너지 dlydd 고효율 복합열원 냉난방시스템/수열에너지 및 기타)
매출현황(백만원)
(2019년) 35,808
2006년 신재생에너지(지열) 전문기업 등록을 시작으로, 지속적인 랜드 마크 수주로 국내 지열시장 1위를 달성 하였으며 지열분야에 십여 개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수열 등 신·재생 에너지 전반으로 사업영역을 확장하고 있음.
고효율 하이브리드 히트펌프 시스템을 기반기술로, 수열에너지를 이용한 친환경·고효율 복합열원 냉난방 시스템 기술을 사업화하여 시스템의 안정성과 성능을 확보하고 나아가 수열에너지를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복합열원 연계형 고효율 하이브리드 히트펌프를 개발할 계획임
지열분야의 오랜 경험과 국내 최초 대형수열에너지 프로젝트의 컨설팅, 설계 및 시공경험으로 수열 에너지 분야에서 독보적인 선도기업으로 발돋움 하고자 함.
'지식 > 경제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2차 재난지원금 대상 (4차 추가경정예산) 맞춤형 긴급재난지원 (0) | 2020.09.11 |
---|---|
코나카드 잔액조회(재난기본소득, 재난지원금) (0) | 2020.06.03 |
2020년 적용 최저임금 시급 8,590원 - 최저임금위원회 (0) | 2019.07.15 |
2020 최저임금 8590원 2019년대비 2.87% 인상 최저시급 (0) | 2019.07.12 |
국토교통형 예비사회적기업 43개 지정 (0) | 2019.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