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 인입시설
●인입시설의 구분: 공중인입선, 지중인입선 ● 특고압케이블의 단말처리(케이블 헤드): 조립형 케이블 접속재, 자기수축형 케이블 접속재 ● 인입관로 인입관로 시설: 케이블의 최대외경, 장래의 용량증가, 경제성 등을 고려 인입관로 매설깊이: 하중을 받는 곳은 지표면에서 1.0m이상, 기타 장소는 0.6m이상 ● 맨홀 케이블의 인입, 인출, 접속 등의 공사 및 점검, 기타 작업을 쉽게 하기 위하여 지중선로의 중간이나 말단에 설치하는 상부에 출입구를 가진 지하구조물 설치간격: 케이블 포설장력이 허용장력 및 허용측압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되 직선구간의 경우 250m를 표준 ● 수전시설의 특징 수전시설의 구성: 변전실의 전원개폐, 보호장치, 계측 및 계량 장치 수전시설의 선정: 부하설비의 중요도, 예비전원과 수전전력..
더보기
전기자동차, 급속충전, 완속충전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OBC의 유무를 통해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하이브리드 자동차를 구분/ 내연기관과 전동화 시스템 동시 존재 전기자동차전기자동차의 충전방식으로는 완속충전과 급속 충전이 있음/전기모터만으로 구동력을 얻음엔진없이 순수히 전기 모터만 사용, 전기에너지만 이용, 배터리 , 연료전지 등으로 지속적으로 전기 생성구동모터, OBC(On-Board-Charger)(상용전원), 12V전력시스템, 인버터, 고압배터리, LDC(절연), 고압전력시스템 에너지효율내연기관 자동차에 비해 전기자동차는 에너지 효율이 높음 전력변환기전압이나 전류의 형태를 변환하여 궁극적으로, 전력의 형태와 흐름을 직접 제어하는 기기 전기자동차의 전력변환전기 자동차에는 AC-DC, DC-AC, DC-DC총 세 종류의 전력..
더보기
배터리 활성화 공정, 배터리 셀 발화 매커니즘, 전극설계 시 재료
프로세스 순서프리에이징 > 포메이션 > 에이징 > 디스챠지(방전) > 디가스(리실링) > SOC 세팅 용량체크 > 휴식 > 파워체크 > OCV 체크 > 그레이딩(등급) 배터리 셀 발화 매커니즘배터리는 열적, 전기적, 기계적 오용에 의해 미세 내부 단락이 발생하여 자가 발열이 일어나고, 이러한 발열이 축적되면, SEI 열분해, 분리막 멜팅 등의 현상으로 가속화되어, 최종 열폭주 현상(발화 및 폭발 등)으로 이러짐 열적 오용 : 고온에서의 방치, 일반 화재 등에 노출 등전기적 오용 : 과충전 또는 과방전에 노출 등기계적 오용 : 못 관통, 사고에 의한 충격, 급격한 진동 등 전극설계활물질 : 전하를 저장 > 용량을 결정도전재 : 전자전달의 경로(카본블랙)바인더 : 활물질 입자 및 도전재 입자를 고정(입자간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