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895만 명(하루 885만 명) 이동…승용차(86.2%)→버스(10.0%)→철도(3.9%) 순
◈ 1일 평균 고속버스 1,200회·열차 29회·항공기 9편·여객선 144회 증회
◈ 고위험 운행행위에 대한 집중 단속 및 중증환자 등 골든타임 확보 총력
◈ 설 전·후 3일간(2. 4.~2. 6.) 모든 차량 고속도로 통행료 면제
◈ 첨단 정보통신기술(IT)활용… 실시간 지·정체 구간의 우회도로 정보 제공
□ 설 연휴기간 중 귀성은 설 하루 전인 2월 4일(월) 오전에, 귀경은 설 당일인 2월 5일(화) 오후에 고속도로 혼잡이 가장 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ㅇ 지난해보다 귀성기간의 증가(2→4일)로 교통량이 분산되어 귀성 소요시간은 감소하는 반면, 귀경기간 감소(3→2일)로 교통량이 단기간에 몰려 귀경 소요시간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 귀성은 서울→부산 6시간, 서서울→목포 5시간 10분 등으로 지난해 보다 최대 1시간 30분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며,
- 귀경은 부산→서울 8시간, 목포→서서울 9시간 10분 등 지난해보다 최대 2시간 50분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일자별 이동수요 (전망)>
□ 설문 조사결과 귀성은 설 전날인 2월 4일(월)에 집중될 것으로 예상되며, 귀경(귀가) 시에는 차례를 지낸 후 여행을 떠나는 나들이객의 교통량과 귀경객 교통량이 동시에 집중되어 설 당일(2.5)과 설 다음날(2.6)에 교통 혼잡이 예상된다.
< 이동목적별 출발일별 이동 비율(전망) >
□ 출발일·시간대별 분포도를 이동목적별로 살펴보면, 귀성시에는 설 전날인 2월 4일(월) 오전에 출발하겠다고 응답한 비율이 25.6%로 가장 높았다.
ㅇ여행 시에는 설 다음날인 2월 6일(수) 오전에 출발하겠다는 응답 비율이 14.0%로 가장 높았다.
ㅇ귀경(귀가) 시에는 설 당일인 2월 5일(화) 오후에 출발하겠다는 응답 비율이 32.7%로 가장 높았으며, 설 다음날인 2월 6일(수) 오후 출발도 31.2%로 나타나 설 당일부터 수요일까지 귀경 교통량이 집중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동목적별 출발일, 출발시간대별 이동 비율(전망)>
□고속도로의 전 구간 1일 평균교통량은 전년대비(443.3만대/일) 1.9% 증가한 451.8만대로, 최대 1일 교통량은 설 당일(2.5.) 574.2만대로 전년(550.0만대/일) 대비 4.4%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ㅇ승용차를 이용할 경우 주요 도시 간 평균 소요시간을 살펴보면, 귀성방향은 최대 1시간 30분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며, 귀경방향은 최대 2시간 50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ㅇ도시별 소요시간은 귀성의 경우 서울→부산 6시간, 서울→광주 5시간, 서서울→목포 5시간 10분, 서울→대전 3시간이 소요되고,
ㅇ귀경은 부산→서울 8시간, 광주→서울 8시간 20분, 목포→서서울 9시간 10분, 대전→서울 4시간 40분 정도 소요될 것으로 전망된다.
<주요 도시 간 예상 평균 소요시간>
< 고속도로별 이용률 >
<고속도로교통정보 어플리케이션>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램 사고는 타 교통과 충돌하는 사고가 가장 빈번합니다 (2) | 2019.01.24 |
---|---|
청년 신혼부부 매입 전세임대주택 29일부터 공고 #임대주택 (0) | 2019.01.23 |
FMD 식단(The Fasting Mimicking Diet) #FMD #간헐적단식 (0) | 2019.01.21 |
2018년 자동차산업 동향 #자동차산업 (0) | 2019.01.18 |
산업통상자원부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 발표 #수소경제 (0) | 2019.01.18 |